티스토리 뷰

쿠띵크💡입니다.

 

털이 긴 고양이 품종에서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것이 페르시안입니다.

 

온순한 타입으로 알려진 페르시안 고양이의 역사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페르시안 고양이 역사

 

 

 

◈ 역사

18세기 초 유럽에서 처음 전해졌지만 확실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란의 옛 나라인 페르시아 제국의 상형문자에 나타난 것에 의하면 사막을 이동하며 무역을 하던 캐러밴들이 무역상품에 긴 털을 가진 고양이가 포함되어 있었고 고양이의 기원지에 따라 이름을 '페르시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18세기 유럽에 전해지고 1899년 영국에서 고양이 쇼에 등장하였으며, 19세기 말 미국으로 전해졌다.

 

 1871년 국제고양이애호인협회(CFA)에 등록되었고, 등록된 고양이 중 가장 인기가 많은 품종이라고 합니다.

 

 

 페르시안은 구전에서도 등장합니다.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사랑이야기죠.

페르시아 왕국이 망하고 신라로 망명한 왕자는 재색을 겸비한 공주와 혼인하고 싶어 했습니다. 하지만 신라의 왕은 타국의 왕자를 달가워하지 않았고, 자신의 딸 30명 중에 그 공주를 고른다면 혼인을 시켜준다고 합니다. 이에 페르시아 왕자는 페르시안 고양이를 그 공주에게 선물했고, 고양이의 아름다움에 반한 공주는 고양이를 지극정성으로 돌봤다고 합니다. 바로 선택의 날 왕자는 긴 털이 묻은 드레스를 입은 공주를 선택했고, 그 공주가 바로 재색을 겸비한 공주였다고 합니다.

 

 

 

페르시안 고양이 특징

 

 

 

 

▸ 털이 가늘고 길고 풍성함

 장모종 중에서도 부드럽고 가는 속 털을 가진 이중 모가 특징

 부드러움은 최고지만 반대로 털 빠짐도 최고이다..........(빗질을 자주 해줘야 함)

 특히, 목과 가슴에 장식털이 많음

 

 털의 색깔과 무늬의 모양에 따라 페르시안 고양이를 구분

: 솔리드, 친칠라, 태비, 바이 등

 

그 외의 하위종으로는

 히말라얀 : 페르시안과 샴을 교배시켜 얻은 품종

 엔조틱 숏헤어 : 페르시안과 아메리칸 숏헤어의 교배종으로 단모를 가진 것이 특징

 나폴레옹(미뉴엣) : 페르시안과 먼치킨을 교배시켜 얻은 품종

 브리티시 롱헤어 : 페르시안과 브리티시 숏헤어와 교배시켜 얻은 품종

 

 

 체형

 체형은 중간 정도이고 튼튼하다

 다리는 굵고 짧은 편

 꼬리도 굵고 짧지만 털이 매우 풍성하다

 얼굴은 넓고 동글하며 뺨을 볼록하다

 두 눈의 사이 간격이 넓고

 눈 모양은 둥글고 크다

 코는 폭이 좁고 짧다 (페르시안 클래식)

 일부 들창코 모양인 경우도 있다(페르시안 엔조틱)

 

◈ 성격

 고양이 중에서 가장 온순한 편

 혼자 있거나 집사와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함

 호기심이 많고 놀기 좋아함

 체력이 좋지 않음..... 금방 지침

 

 

 

페르시안 고양이 유전병 및 건강질환

 

 

 

 유전질환

▸ 다낭성 신장병 : 신장에서 체액이 찬 주머니가 다수 발견되는 질환으로 신장 실질을 파괴하는 질병입니다. 우리 고양이가 화장실이 아닌 곳에 실수를 자주 한다면, 의심해 볼만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고양이 다낭성 신장질환 (Ft. 페르시안 품종에서 흔한 질병) (tistory.com)

 

고양이 다낭성 신장질환 (Ft. 페르시안 품종에서 흔한 질병)

쿠띵크💡입니다. 바로 이전 포스팅과 마찬가지로, 신장(콩팥) 관련 질병인 다낭성 신장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낭성 신장질환이 발병하면 신장의 기능을 잃게 되고 신부전을 앓게 된다

koo-view.tistory.com

 

▸ 진행성 망막 위축증 : 망막의 퇴행과 위축이 발생하여, 시력을 갑자기 잃게 되는 질병으로 아직 치료법이 있지 않습니다. 반료동물이 환경에 적응하게 도움을 주는 것 외에는....😭

 

▸ 비후성 심근증 : 심장질환 없이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심장근육질환으로 심장 이완기 기능부전입니다. 치료방법이 뚜렷이 없어, 평소 관리를 잘해줘야 합니다.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나트륨이 적은 식단 위주로 제공해주세요.

 

# 같이 보면 좋은 글

비대 심근증 (HCM) = 비후성 심근증 (Ft. 고양이 유전병으로 유명한) (tistory.com)

 

비대 심근증 (HCM) = 비후성 심근증 (Ft. 고양이 유전병으로 유명한)

쿠띵크💡입니다. 고양이 유전병으로 가장 유명하고, 유전이 아니더라도 가장 많이 발병하는 질병인 '비대성 심근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타까운 사실은 고양이의 심장병은 티가 잘 나지

koo-view.tistory.com

 

▸ 방광결석 : 방관에 광 결절이 모여 결석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원인은 너무 다양하다. 고단백, 고나트륨의 음식 및 운동부족, 배뇨이상, 세균 감염 등이 원인이 된다. 소변을 볼 때 이상 반응이 관찰되면 병원에 방문하여 약물 치료 및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

 

▸ 방광염

 

 

 납작한 코를 가진 페르시안

▸ 주기적으로 호흡이 적절한지 체크

▸ 열에 민감해져, 여름에 선선한 온도의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함

 

 헤어볼 위험이 다른 고양이에 비해 크므로, 관리를 잘해야 함

 

 페르시안은 목욕이 필요한 고양이, 주 1회가 적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