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알뜰교통카드는 2020년 국토교통부에서 시행된 사업입니다.
대중교통 이용 중에 걷기 혹은 자전거 사용하는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2023년 7월 1일부터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정책을 시행하여 혜택의 폭을 넓혔습니다.
아래와 같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출발하고 회사에 도착하기까지의 거리 대해 마일리지를 적립, 지급하는 사업입니다.
1. 알뜰교통카드란?
국토교통부가 2020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가를 타는 거리에 대해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교통비의 최대 30%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앱 마일리지로 최대 20% 플러스 카드 혜택 최대 10% 혜택으로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신청하고 싶은 카드사로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하고 알뜰교통카드 앱을 다운로드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사용을 시작하면 됩니다. 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해보시길 바랍니다.
2.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최근 2023년 7월 1일부터는 혜택을 늘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를 시행합니다.
첫째, 마일리지 적립혜택이 월 최대 44회에서 60회로 늘어났습니다.
둘째, 발급 가능한 카드사가 늘어났습니다. 삼성, 국민, 현대, 농협, 비씨, 광주, 케이뱅크가 추가되었습니다.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카드 이벤트가 진행 중이오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기존의 신한, 우리, 하나, 캐시비, 티머니, DGB도 그대로 유지합니다.
3. 나는 마일리지 추가 적립 대상자 인가?
첫째, 내가 만약 만 19세 ~ 만 34세의 청년층이라면 청년마일리지 추가 적립대상자입니다.
이는 따로 추가 신청할 필요 없이, 등록된 개인정보에 따라 자동 상향적립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둘째, 내가 저소득층에 해당된다면 마일리지 상향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에서 증빙을 제출하여 신청을 해야 받을 수 있는 내용입니다.
셋째, 오늘이 미세먼지 발령일이거나 환경 관련 기념일이라면? 해당 날의 대중교통 이용 마일리지 적립금이 2배로 적립됩니다. 어플에서는 기본마일리지로 보인다는 것을 주의해 주세요.
4. 신한알뜰교통체크카드 4개월 사용 후기
1) 정해진 출퇴근은 즐겨찾기로 편안하게 즐기세요.
장점은 일일이 출발 및 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대신 단점이라면, 현재까지 사용한 마일리지 적립 횟수를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 달에 60회로 늘어났기 때문에, 이제 신경 안 쓰고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두 달은 카드 실적 관계없이, 2천 원의 캐시백을 제공하는 신한알뜰교통체크카드입니다.
단점이 5월에 혜택 받은 마일리지 캐시백이 6월에 들어온다면, 캐시백은 7월에 들어옵니다...
3) 평균 마일리지 캐시백 17,000원 정도를 받고, 카드사 교통비 할인까지 약 19%를 할인받았습니다.
참고로 저는 광역버스를 타고 출퇴근을 합니다.
다른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교통카드 캐시백은 최대 10%가 많은데, 그나마도 한도가 정해져 있죠?
그런 의미에서 저는 알뜰교통 너무 강추드립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마을금고 부실 지점의 원인이 무엇일까? (0) | 2023.07.17 |
---|---|
뱅크런 뜻과 뱅크런이 순식간에 일어나는 이유 (1) | 2023.07.13 |
주민등록증 재발급 : 인터넷으로 가능, 준비물과 비용 안내 (0) | 2023.06.26 |
[부동산] 전월세 신고하고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필증 받기 (0) | 2023.06.21 |
2023년 에너지바우처 : 에너지취약계층 지원 (~12월 29일 까지) (0) | 202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