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종부세는 무엇인가?
부동산의 세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종부세란?
■ 종합부동산세의 줄임말로 재산세의 하나입니다.
■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토지와 주택 소유 대상에 대해 국세청이 별도로 누진 세율을 적용,
조세의 부담을 달리하여 납세의 형평성을 제고하여 부과하는 세금이라고 합니다.
■ 과제기준일 현재(매년 6월 1일)
국내에 소재한 재산세 과세 대상인 주택 및 토지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인별합산한 결과를 토대로,
그 공시가격 합계액이 각 유형별로 공제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해 과세되는 것이지요.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종합토지세 외의 세금입니다.
재산세와의 차이점은?
■ 재산세는 주택과 토지를 소유한다면, 내야 하는 피할 수 없는 세금입니다.
■ 종부세는 특정기준을 넘기면 부과되는 세금인 점을 생각했을 때 다른 세금부과 방식이라고 할 수 있죠.
시행된 원인은?
■ 2005년부터 시행된 세금이고,
부동산 투기 수요를 억제하여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입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경기도청년복지포인트 -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 사용처, 지급일 (0) | 2023.05.02 |
---|---|
과학문화바우처 상품 및 사용처 안내 (2) | 2023.04.04 |
혼돈의 주택시장 공부 (0) | 2023.01.03 |
청년도약계좌 1억만들기 vs 청년희망적금 (0) | 2022.03.13 |
삼성전자 주주총회 및 배당금 (0) | 202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