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이야기

혼돈의 주택시장 공부

쿠띵크 2023. 1. 3. 16:20

 

혼돈의 주택시장의 현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논단]혼돈의 주택시장, 인내가 필요하다 (naver.com)

 

[논단]혼돈의 주택시장, 인내가 필요하다

올해 주택시장은 어디로 갈까.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리인상의 파고가 가상자산, 주식, 채권을 넘어 부동산 시장에도 전례없는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한국 주택시장은 지난해 전국 6.5%의 하

n.news.naver.com

 

 

■ 한국 주택시장은 지난해 전국 6.5% 하락

2021년 서울 주택을 매수한 사람들은 모두 평가손실 구간에 진입

높아진 이자부담과 원금이하로 내려간 아파트 가격으로 인해 가계의 고통이 확대

2023년에는 더욱 증폭될 것으로 예상

 

 

 시장의 하락세 전환은 금리 때문

올해도 고금리 유지 되어 시장의 약세는 이어나갈 것

 

 

 

 

 특히, 역전세는 더욱 심화

2023년 12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

역전세란?
1) 주택가격이 급락 -> "전세시세<계약당시금액" ->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상황
2) 또는 신규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
- 임대인? 임대차 계약에 따라 돈을 받고 다른 사람에게 목적물을 빌려준 사람
- 임차인? 임대차 계약에서 돈을 내고 목적물을 빌려 쓰는 사람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 부양책으로 부동산 정책을 변경

1) 실수요자 중심 & 다주택자의 투자수요까지 동원한 정책 발표

다만, 다주택자의 투자수요 유입을 위해 인센티브를 과도하게 확대할 경우 논란이 존재할 수 있어

3 주택 이상을 실질적 다주택자로 규정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등 규제부담은 유지되도록 설계

 

2) 주택임대사업자를 부활시켜 그 제도 안으로 편입되는 경우에만 3주택 이상도 규제부담이 낮아지는 것으로 구조를 짬

 

 

 

 

 자산가격의 변화 그 자체는 경제와 상관없지만, 

부동산 가격하락으로 건설경기가 위축되는 것은 경제에도 영향을 준다.

미분양 발생 -> 시행사 도산, 건설사 책임준공 리스크 -> 자금조달 막힘 -> 은행에 악영향

하여 정부의 개입은 필요하며, 정상화로 찾아오는 후폭풍을 감당할 만큼의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