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쿠띵크💡입니다.
고양이의 신장(=콩팥)은 사람보다 기능이 더 좋다는 걸 아시나요?
고양이는 과거 사막이나 고산지대 등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적은 물의 양으로 효율적인 신체활동을 위해 신장의 기능이 강화되어 있습니다.
사람은 물을 마시면 땀과 소변으로 배출하는 것과 달리, 고양이는 수분을 한번 더 흡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래서 고양이의 소변의 냄새가 심한 것입니다. 신기하지 않나요?
신장의 역할은?
신장은 4가지의 대표적인 역할을 하며, 신장이 제기능을 하지 못할 시 신부전증이라고 판단합니다. 신장은 한 번 손상이 되면 좋아질 수 없기 때문에 치명적인 질병이죠.
1. 수분 재흡수
2. 노폐물 배설
3. 미네랄 밸런스 조절
4. 호르몬 분비
신부전증이란?
◈ 신부전증이란?
위의 4가지 기능이 저하되어 손상되는 증상을 신부전증이라고 합니다.
약물 또는 독성 물질을 섭취하여 급성으로 오는 신부전증과, 나이가 들어 점점 신장의 기능을 상실하는 만성 신부전증이 있습니다.
급성신부전증은 신부전증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투석이나 수액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시키면서 회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만성은 신장의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는 질병으로 초기에는 발견이 잘 되지 않아, 만성이 되어 알기에 치료를 진행해도 속도를 늦출 뿐 회복은 어렵습니다.
◈ 왜 우리는 초기에 증상을 알아차리지 못할까요?
그것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총 4단계로 신부전증을 분류할 수 있으며, 우리는 흔히 1~2단계의 증상을 놓치게 됩니다. 2단계의 증상들이 꼭 신부전증에서만 발생하는 것도 아니기에, 더욱 그러하겠죠?
그러니 우리는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서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베스트의 방법입니다.
1단계 : 정상 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단계 : 많이 마시고, 많이 소변 하고/ 구토/ 식욕감퇴
3단계 : 요독(노폐물) 증상/ 위염/ 구내염/ 대사성 산증 → 생명 위협받기 시작
4단계 : 위중한 상태로 생명 장담하지 못하는 상태
◈ 신부전증 대표적인 증상
▸ 많이 마시고, 많이 소변을 본다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가 블충분해지면서 평소보다 고양이가 물을 많이 먹고 냄새가 덜 나는 소변을 많이 보게 됩니다.
▸ 탈수 증세
신부전이 진행되면 물을 마시는 것만으로는 몸의 수분을 채울 수 없습니다. 이를 탈수 상태라고 하며, 고양이는 기력 없어 축 쳐져 있는 모습을 보일 것입니다.
▸ 요독(노폐물) 증
신장에서 배설할 수 없게 된 노폐물의 축적으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속이 불편해지면서 식욕이 없고 구토를 자주 하는 모습을 보일 것입니다.
▸ 빈혈
신장에서 만들어지는 조혈 호르몬이 결핍됨에 따라 기운이 없고 식욕이 없는 모습을 보일 것입니다.
▸ 고혈압
신장 기능이 저하 → 노폐물이 체내에서 배출 X → 신장은 혈압을 올림 → 신장으로 흐르는 혈액을 증가 → 노폐물을 제거하려고 함 → 호르몬 분비 → 혈류량 증가 → 고혈압 → 신장 기능 저하 가속도
신부전증 예방법과 치료법
◈ 예방법
어렵지 않습니다. 관심과 노력이 있다면, 충분히 할 수 있는 예방법입니다. 아프기 전에 우리 고양이를 위해 노력해 주세요!
▸ 매일 충분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게 노력하기
▸ 건사료뿐만 아니라 습식사료도 급여하기
▸ 깨끗한 물로 자주 갈아주기
▸ 다양한 물그릇을 다양한 공간에 두기
▸ 보호자가 반려묘의 만성신부전을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은 SDMA 주기적으로 하기
▸ 신장에 좋은 영양제 먹기
◈ 치료법
일반적으로 만성신부전에 걸렸다면, 신장보조제, 신장 전용 처방식, 수액치료를 통해 관리합니다.
이 방법으로도 힘들다면 혈액투석으로 일부 신장 기능을 대신하는 치료법(CRRT)를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치료법은 만성 뿐만아니라 급성 신부전증일 때도 사용되는 치료법입니다.
'고양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척추 측만증 = 척추 곡만증 (Ft. 먼치킨 유전병으로 유명한,,,) (0) | 2022.06.30 |
---|---|
고양이 다낭성 신장질환 (Ft. 페르시안 품종에서 흔한 질병) (0) | 2022.06.29 |
고양이 비대 심근증 (HCM) = 비후성 심근증 (Ft. 고양이 유전병으로 유명한) (0) | 2022.06.24 |
브리티시 숏헤어 고양이의 역사와 특징 (0) | 2022.06.23 |
봄베이 고양이의 역사와 특징 (0) | 2022.06.22 |